티스토리 뷰
반응형
[SerializeField]
CharacterController cc;
float hAxis;
float vAxis;
Vector3 moveVec;
void Start()
{
cc = GetComponent<CharacterController>();
}
void Update()
{
hAxis = Input.GetAxisRaw("Horizontal");
vAxis = Input.GetAxisRaw("Vertical");
moveVec = new Vector3(hAxis, 0, vAxis);
cc.Move(moveVec * 5.0f * Time.deltaTime);
}
[요약]
Input.GetAxisRaw 를 활용하여
벡터값 생성 후 Move 함수 호출
키보드값*speed*DeltaTime
#unity #유니티 #CharacterController #Input.GetAxisRaw #이동
[팁]
기본적으로 CharacterController를 생성하면 collider가 맞지않기때문에 캐릭터 위치가 이상할 수 있어서 한번 맞춰주면 좋다
반응형
'유니티(unity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유니티(unity)/Content size fitter] 객체(텍스트) 사이즈 동적 적용 (0) | 2021.11.09 |
---|---|
[유니티(unity)] animation Controller 에서 되감기(rewind)하는 법 (0) | 2021.11.09 |
[유니티(unity) / 프로그래스바] 가장 쉬운 프로그래스바 구현 (0) | 2021.11.03 |
[유니티(unity)/C#] float 소수점 조절하기(Time.delta) (0) | 2021.11.03 |
[유니티(unity)/캐릭터이동] CharacterController 이용한 캐릭터 이동 (1) | 2021.11.02 |
댓글
반응형